말라리아 완전히 퇴치하려면 DMZ 방역 ‘불가피’


말라리아 환자 수에 관한 한 우리나라가 한ㆍ중ㆍ일 중 1위
DMZ 인근 산림 하천에서도 말라리아 유충 발견

소비자를 위한 신문 | 입력 : 2023/02/28 [21:25]

국내에서 말라리아를 근절하려면 주요 매개체인 얼룩날개모기를 없애기 위해선 방제작업의 범위를 DMZ(비무장지대)의 깊은 산림 하천까지 넓힐 필요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말라리아 환자 수에 관한 한 우리나라가 한ㆍ중ㆍ일 동북아 3개국 중 1위다.

 

28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서울대 의과학과 여선주 교수팀이 2022년 5∼9월 비무장지대(DMZ) 인근 고양시 3개 마을, 김포시 2개 마을에서 얼룩날개모기 번식지를 탐사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먼 산림 하천으로의 번식지 상향 이동과 국내 얼룩날개모기의 공간적 분포, 2022, Upward shift of breeding sites to the remote forest stream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Anopheles mosquitoes in Korea, 2022)는 ‘리서치 스퀘어’(Research Square) 최근호에 소개됐다.

 

조사결과 말라리아를 옮기는 얼룩날개모기 유충의 새로운 번식지가 DMZ 인근 숲 개울에서도 발견됐다. 깊은 산림지대(인간 거주지에서 100m 이내)와 산림 하천에서도 말라리아 유충의 존재가 확인된 것이다.

 

여 교수팀은 논문에서 “국내 말라리아 매개체 근절을 위해 DMZ 내 전 산림지역에 대한 방제가 필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말라리아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모기 매개성 질환이다. 얼룩날개모기는 삼일열원충을 전파하는 매개체다.

 

코로나-19로 인해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노력이 중단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말라리아 환자와 사망자가 많이 증가하고 있다. 흥미롭게도, 우리나라의 말라리아 환자 수는 코로나-19 범유행 기간인 2021년 274명 이하로 감소했다. 2022년엔 말라리아 토착 사례가 388명 이상으로 증가했다(질병관리청). 말라리아 환자 발생률이 가장 높은 시도는 DMZ 인근 경기도다. 2022년 경기도 인구 10만명당 말라리아 발생률이 2명 이상이었다.

 

현재 말라리아에 관한 한 한ㆍ중ㆍ일 동북아 3국 중 우리나라가 가장 환자 수가 많다. 1940년대에 연간 3,000만건의 말라리아 발병 사례가 있었던 중국은 2021년 6월 30일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말라리아 퇴치 인증’(malaria-free certification)을 받았다. 일본의 말라리아 발생률은 2017년 말라리아 제로 2030 캠페인이 시작된 이후 매년 20건 이하로 급격히 감소했다. 지난 10년 동안 국내에선 범정부적인 말라리아 퇴치 노력의 결과 말라리아 환자 수가 많이 감소했다. 하지만 2022년 해외 발생 건수를 포함해 환자 수 400명 이상을 유지하면서 여전히 풍토병으로 남아 있다. 질병관리청도 2024년 WHO의 ‘말라리아 퇴치 인증’을 받기 위해 힘을 쏟고 있다. 강경남 기자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